저는 4층 12반에서 직업상담사 종목이랑 같이 시험을 봤는데 코로나때문인지 한반에 정원 17명입니다.
사람도 많지 않고 에어컨도 빵빵하게 틀어줘서 진짜 시원해서 좋았습니다~!
에어컨 없었으면 화날뻔했다는요. ^^;;
암튼 시험지를 받았는데 첨보는 문제 몇 개 빼고는 대부분 과년도 기출문제라 쉽게 쉽게 잘 풀은 것 같습니다. (계산문제는 9개 정도)
저녁 6시에 가답안이 올라와서 바로 채점 고고!!
가채점 결과
과 목 명
취득
1
인간공학개론
100점
2
작업생리학
95점
3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90점
4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
80점
평균
91.25점
채점하니 생각보다 점수가 잘 나와서 기분이 좋네요. 굿~
공부하는 차차 1차 필기시험 합격입니다. ^^*
이제부터 시험 후기입니다.
공부하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인지 책 종류 딱 (세이프티넷, 시대고시기획) 2개입니다.
이 중 저는 시대고시기획 윙크 Win-Q (22,500원)로 공부했습니다.
* 세이프티넷은 책 소개에 과년도기출문제라고만 표기. 즉 과년도 몇년치가 실린지 표기가 안되어있어 시대고시기획으로 구입 ^^;;
제가 공부한 시대고시기획 교재는 과년도 기출문제가 16년 1회부터 21년 1회까지 총 5년치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말이 5년이지 1년에 시험이 2번인지라 횟수로 따지면 기출 11회입니다.
공부는 필기 접수하면서 바로 시작했는데, 순공시간은 하루 1시간 30분 정도입니다.
다른 기사 준비할 때 딱 한달씩 잡고 준비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그렇게 준비 했는데, 2주 정도 책을 보고나니 다 본 느낌이네요.
과년도 11회 분량이라 적기도 했지만 계산문제도 거의 없고 문제가 쉬운편이라 그런 것 같습니다. 3주가 되니 지겹기 시작하더라고요. ㅠㅠ
정리하면 (이론 안보고) 과년도 5개년도만 봐도 합격은 충분할 것 같고, 공부기간은 3주 정도면 딱 좋은 느낌입니다.
제가 시험 본 다른 종목과의 난이도를 비교하자면,
대기환경 = 수질 > 산업위생 > 산업안전 > 폐기물 > 위험물 = 인간공학기사
암튼 난이도는 제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고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시험이니 한번씩 도전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인간공학기사 합격후기
산업위생관리기사를 자격증을 취득하고 나서 인간공학기사를 취득하려고 했고
학원에 찾아가서 강의를 들으려고 했는데 학원이 없어서
인터넷 강의를 듣거나 독학을 했어야 하는데 아무래도 인터넷 강의를 들어야 할 것 같아서
찾아봤는데 썩 마음에 드는 곳이 없었고 인간공학기사 자체가 많지 않은 곳에서 강의를 하다보니
올배움이 가장 최근에 촬영되고, 기출문제도 많이 있어서 인강을 수강했습니다
필기는 이론강의를 중점적으로 들었고 이후 기출문제는 사이트에 올라와있는 대로
16년도 부터 19년도 까지 시간되는대로 틈틈히 풀었습니다.
실기는 나오던 문제가 중복 출제되긴 하지만 필기 이론에서 기초를 안잡아 놨으면
큰일날 뻔 했다는 생각이 들었죠. 근골격게질환의 주요발생요인쓰라는 거나, 들기작업 공식에서 수평계수, 수직계수, 비대칭계수의 조건 같은 경우에는 출제되었던 문제였기 때문에 기억에 남았는데 새로 보았던 변동피로여유율이라든지 아니면 링스톤에 대한 문제같은 경우에는 기억이 가물가물하더라고요. 하지만 경국현 강사님의 실기 기초이론 강의나 10년도 부터 19년 까지 실기 기출복원문제를 풀어봐서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참 감사드립니다.
댓글